|
|
 |
시세가치평가는 왜 필요할까 |
어떤 상황에 시세가치평가가 필요한지 알려드립니다. |
|
시세가치평가는 왜 필요할까?
경제 규모의 확대와 고도성장은 개인과 기업의 경제생활에 있어 과학화·합리화 된 계량을 요구하게 되었습니다. 경제활동의 기초가 되는 각종 재화에 대한 적정한 가치판단과 거래에 있어 공정하고 타당한 가격 제시가 필요한 상황이 많아진 것입니다. 즉, 동산 가치산정으로 인한 사회적/경제적 갈등을 예방하고, 동산 가치에 대한 분쟁 해결 과정에 시세가치평가의 과정이 필요합니다.
시세가치평가는 크게 두 가지 범주를 포괄하여 수행 됩니다.
첫째는 거래 사례가 많아 시세 형성이 충분한 경우,
둘째는 거래 사례가 불충분하여 시세를 파악할 수 없는 경우입니다.
시세가 충분히 형성되어 있고, 일반 보통의 재화라면 그 시세에 따라 간단히 적정한 가치를 측정할 수 있으나, 기능이나 미려함 또는 그 밖의 우수요소가 있어 그 시세보다도 금전적인 가치를 높게 인정받기 원한다면 시세가치평가가 필요합니다.
가치 상승의 요인 |
예시 상황 |
실제사용의 차별성 |
같은 연식에 비해 주행거리가 월등하게 짧다. 성능개선과 업그레이드 |
가치보존을 위한 노력 |
부식 및 파손 방지를 위해 더 많은 시설, 부품 등을 부착하였다. |
정비의 우수성 |
정기적인 점검과 정비 횟수를 통하여 동체 상태가 월등히 우수하다. |
|
등의 경우입니다. 즉, 시세보다 가치를 더 높게 인정받기를 원할 때 시세감정이 필요합니다.
입장이 바뀐 반대의 경우도 존재합니다. 거래 상대방이 시세보다 가치를 높게 인정해달라는 정도가 지나치다고 생각될 때, 적정 가치를 계량받기 위해 시세감정을 의뢰할 수 있습니다.
하지만, 첫째와 다르게, 희소성에 기반해 거래 사례가 많지 않아 시세 형성이 불충분한 상황 속에서도 시세가치평가가 필요합니다. 바로 다음과 같은 경우입니다.
시세 불충분 요인 |
예시 상황 |
단종 |
과거에 신제품이 출시되었으나, 금세 단종이 된 경우 |
한정 주문 생산품 (Limited edition) |
과거에 소량만 생산되어 비교사례를 찾을 수 없는 경우 |
희소성 |
시장에서의 거래가 거의 없어 가치산정에 어려움이 있을 경우
(예. 소방차, 레미콘 등의 특수차량, 개인용/법인용 소형비행기, 헬리콥터, 요트, 수입자전거 등)
|
예술적 가치, 희소성의 가치 등으로 인해 일반적인 가치감정 방법으로는 감정이 불가능 한 경우
(예. 보석, 기념주화, 도자기, 그림, 희귀 동ㆍ식물 등)
|
|
등의 경우입니다. 즉, 희소성으로 인해 발생되는 가치측정의 어려움을 해결할 때 시세감정이 필요합니다.
이와 같이, 시세가치평가는 매우 다양한 상황에 적재적소의 기능을 발휘 할 수 있습니다.
|
|
|
|